강원 동해 해역에서 발생한 4.5 규모의 지진은 올해 한반도에서 가장 큰 규모로 기록되었습니다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 해역에서 4.5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기상청이 15일 오전 6시27분에 밝혔습니다. 이번 지진의 진원 깊이는 31㎞로 추정되며, 최대 Ⅲ(강원·경북)의 계기진도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건물 위층에 있는 사람들은 강한 느낌을 받았고, 정지한 차량도 약간 흔들렸습니다. 지진이 발생한 시간 기준으로, 피해 신고는 18건이 있었으며, 피해 접수는 없었습니다. 이 해역에서는 지난달 23일부터 계속 지진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번 지진은 올해 한반도와 주변 해역에서 가장 큰 규모를 가진 지진입니다. 이전까지 기록된 최대 규모 지진은 2019년 4월 19일에 발생한 4.3 규모의 지진이었습니다. 기상청은 이번 지진이 1978년 이후 발생한 남한 지역 지진 중 20위(해역 기준 13위)에 해당한다고 밝혔습니다. 동해상에서는 지진을 감지한 신고가 이어졌으며, 시민들은 최근 동해상에서 지진이 자주 발생해 불안감을 표명했습니다.

15일 오전 6시27분에 발생한 4.5 규모의 지진은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9㎞ 해역에서 일어났습니다. 강원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오전 7시30분까지 동해, 삼척, 강릉에서 집이 흔들리는 등의 18건의 신고가 접수되었습니다. 이웃한 경북 지역에서는 영주와 안동에서도 유사한 신고가 있었습니다. 아직까지는 지진으로 인한 피해 신고는 접수되지 않았습니다. 온라인 상에서도 지진 경험을 공유하는 글이 많이 올라왔습니다. 한 누리꾼은 창문이 흔들려서 깨어났을 때 바람이 아니라 지진이었다고 말했으며, 최근 근방에서 자주 발생하는 지진이 규모가 커지고 있어 무서운 기분이라고 전했습니다.

엔진은 잊어라! ‘전기차 격전장’ 된 모빌리티 쇼

전세계에서 팔리는 신차 10대 중 한대가 전기차일 정도로, 이제 전기차는 우리 일상 속에 깊숙이 들어왔습니다.

오늘 서울 모빌리티쇼에서도 주요 차량 제조사들은 새 전기차를 잇달아 공개했는데요.

세계적인 스포츠카 제조사가 공개한 새로운 컨셉트카.

총 15종의 차량을 출품한 포르쉐를 비롯해, 수소연료전기차를 선보인 BMW, 차세대 스포츠카를 내세운 벤츠까지…

대부분 전기차나 수소차 등 친환경차를 선보였습니다.

[“그 다음에 전기차인 토레스 EVX를 만나보시겠습니다.”]

KG모빌리티로 이름을 바꾼 쌍용차도 신차로 전기차를 공개했습니다.

기아도 첫 대형 전동화 SUV 모델인 EV9 을 첫 공개했습니다.

[조병철/기아차 국내상품실장 : “15개의 라인업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다양한 전기차 라인도 확보를 하고 그걸 통해서 전동화 시대에 맞춰서 저희가 라인업을 충분히 확보해 나갈 것으로 생각합니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선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 부품을 만들던 부품업체들의 변신이 눈에 띄었습니다.

[김은정/현대모비스 브랜드커뮤니케이션팀장 : “전장 그리고 전동화에 집중적인 투자를 하고 있고 다양한 기술 개발을 하고 있고, 소프트웨어 기술을 기반으로 기술에 대한 매출 비중이 확대할 계획입니다.”]

‘지속가능하고 지능화된 이동혁명’을 주제로 열린 이번 전시회에선 국내외 완성차 브랜드 12곳이 총 21종의 신차를 공개했습니다.

중국 2월 자동차 판매 증가세 회복…전월 대비 19.8% 증가

중앙정부의 지원 중단 영향으로 감소했던 중국의 자동차 판매가 지방정부들의 지원과 생산업체들의 가격 인하에 힘입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

10일 중국자동차공업협회 자료에 따르면 2월 자동차 생산과 판매는 각각 203만2천대와 197만6천대로, 전달보다 27.5%, 19.8% 증가했습니다.

작년 같은기간과 비교해서도 11.9%, 13.5% 늘었습니다.

전통 내연기관 승용차 판매량은 96만4천대로 전달보다는 6.6% 늘었지만, 작년 동월과 비교하면 9.8% 감소했습니다.

반면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수소차 판매는 52만5천대로, 작년 동기 대비 55.9% 급증하며 시장 점유율을 26.6%까지 끌어올렸습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선두인 비야디가 19만3천대를 판매, 전월과 작년 동기 대비 각각 28%, 119.5% 증가하며 1위를 유지했고, 테슬라는 7만4천대를 팔아 2위를 기록했습니다.

전체 자동차 판매 가운데 승용차는 165만3천대로 전달보다 12.5% 늘었으며 작년 동월과 비교해서도 10.9% 증가했습니다.

상용차는 32만4천대를 팔아 전달과 비교해 79.4% 급증했고, 작년 동월과 비교해도 29.1% 늘어 승용차 판매 증가율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방역 완화와 코로나19 확산세 진정에 따라 경제 활동이 점차 정상을 회복하는 데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올해 2월까지 자동차 판매는 362만5천대로 작년 동기보다 15.2% 감소했으나, 신에너지차는 93만3천대의 판매량을 기록, 20.8% 증가했습니다.

이 기간 승용차 판매량은 312만1천대로 작년 동기보다 15.2% 줄었고, 상용차도 50만4천대가 팔려 15.4% 감소했습니다.

1월 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이 한 달 전인 작년 12월보다 각각 33.1%, 33.5% 급감한 데 따른 것입니다.

중앙 정부가 2017년부터 신에너지차 육성을 위해 주던 구매 보조금과 작년 6월부터 한시적으로 시행한 차량 구매세 감면 조치를 작년 말 종료한 영향이 컸습니다.

판매 부진을 극복하기 위해 테슬라를 비롯한 자동차 생산업체들이 앞다퉈 가격 인하에 나섰고, 지방정부들은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큰 자동차 산업 업황 회복을 위해 구매 보조금 지원, 할인 쿠폰 지급을 통해 자동차 판매 촉진에 나섰습니다.

주유소 휘발유 가격, 8개월 만에 다시 경윳값 추월

국내 주유소에서 판매되는 휘발유 평균 가격이 경유 가격을 여덟달 만에 다시 앞질렀습니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사이트인 오피넷에 따르면 오늘(23일) 오전 9시 기준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 가격은 리터(ℓ)당 1,579.28원으로 1,578.37원인 경윳값을 넘어섰습니다.

휘발유 가격이 경유 가격을 앞지른 것은 지난해 6월 이후 약 8개월 만입니다.

지난해 5월 11일 경유 가격(1,947.59원)이 휘발유 가격(1,946.11원)을 처음 추월한 이후 6월부터 이 같은 현상이 본격화돼 8개월 넘게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올해 1월 1일부터 휘발유에 붙는 유류세 인하 폭이 37%에서 25%로 축소된 반면, 경유 유류세 인하 폭은 37%로 유지되면서 경유 가격 인상폭이 주춤해졌습니다.

여기에 더해 유럽의 난방용 발전 수요가 줄면서 국제 경유 가격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어 당분간 이같은 기조는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자동차: 프랑스에서 자동차 도난이 증가하는 이유

도둑들이 새로운 수법을 사용하면서 차량 절도가 다시 증가하고 있습니다. 절도범들은 점점 더 정교한 전자 도구를 사용하여 40초에서 3분 만에 차량을 훔칠 수 있습니다.
차를 주차하고 잠그면 안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동차는 잠겨 있더라도 생각보다 훨씬 더 취약합니다. 작년 프랑스에서는 매시간 15대의 차량이 도난당했습니다. 오늘날 도난은 전자적으로 이루어지며 몇 분 밖에 걸리지 않습니다. 사이버 인텔리전스 전문가인 다미앙 방칼은 “절도범들이 손에 상자를 들고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이 상자를 통해 주파수를 가로채고 (…) 이 상자가 자동차에 ‘이제 열 수 있다’고 알려줍니다.”라고 설명합니다.

도둑들이 많이 찾는 모델

이 도난 장치는 인터넷에서 판매됩니다. 광고에서는 40초의 시작 시간을 약속합니다. 이 물건은 5,000유로에 판매됩니다. 그 결과 도난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2022년 +9%. 특정 모델에 대한 수요가 높은데, 도요타 라브 4, 렉서스 NX, 아우디 A3가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일단 도난당한 차량은 며칠 내에 프랑스를 떠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티어링 휠을 잠그는 등의 간단한 방법이 여전히 최선입니다.